모델3·Y 중고 시세 3개월 연속 하락
배터리 교체 시 수천만 원 부담 가능성
충전 제한 코드 표시 후 주행거리 급감

테슬라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오류 코드 ‘BMS_a079’ 논란이 본격화되면서, 중고 시장에서 모델3·모델Y의 시세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4일 케이카(K Car)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모델3의 평균 시세는 7월 3,847만 원 → 8월 3,771만 원 → 9월 3,729만 원으로 연속 하락했고, 모델Y 역시 4,918만 원 → 4,825만 원 → 4,789만 원으로 비슷한 추세를 나타냈다.
케이카는 “8월 이후 BMS 오류 논란이 집중적으로 제기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가 위축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충전 제한·배터리 교체 권유… 소비자 불안 가중

‘BMS_a079’ 오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내부 이상을 감지해 충전량을 제한하는 경고 코드다. 해당 코드가 표시되면 시스템이 강제로 충전 한도를 낮추거나 완충을 차단, 일부 차량에서는 “배터리를 교체하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함께 나타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2021년식 모델3·Y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제보가 이어지면서, 중고차 시장에서 이 연식 차량의 시세 하락폭이 더 크다. 모델3: 8월 –2.8%, 9월 –1.2% 모델Y: 8월 –3.1%, 9월 –2.8%
보증 만료 차량은 ‘수천만 원’ 교체비 부담

테슬라는 배터리와 드라이브 유닛에 대해 8년 또는 주행거리 16만~19만 km(모델별 상이)까지 보증을 제공한다. 보증기간 내에는 무상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지만, 보증이 끝난 차량은 교체비용이 최대 수천만 원에 달할 수 있어 소비자 부담이 크다.
업계 전문가들은 보증이 끝난 차량에서 BMS 오류가 발생하면 배터리 교체비만 수천만 원이 될 수 있다며 “이와 같은 위험요소를 확인하지 않고 중고차를 구입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기차 잔존가치의 ‘새 변수’ BMS 이슈

이번 사태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중고차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로 평가된다. BMS는 전압·온도·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해 배터리 안전을 지키는 핵심 장치로, 시스템 오류 발생 시 주행거리 축소·충전 불가·출력 제한 등의 문제가 동반된다.
중고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이번 테슬라 사례는 “배터리 건강 상태(Battery Health) 정보의 투명 공개” 필요성을 다시금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전기차 거래에서 BMS 진단 이력과 배터리 상태 리포트가 핵심 지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