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노조, 10월 1일 총파업 예고
도내 버스 80% 멈추면 교통 대란 불가피
도, 전세버스·지하철 증편 등 비상대책 마련

경기도 시내·외 버스 노조가 30일 열리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10월 1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파업은 도내 50개 버스 업체 소속 노조원들이 참여하며, 전체 운행 차량 1만575대 가운데 약 8437대가 멈출 것으로 추산된다. 운행률로는 약 80%에 달해 사실상 도내 버스 교통이 마비될 가능성이 크다.
노조 요구와 사측 입장 대립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 업체와 민영제 업체를 구분해 요구 조건을 내세우고 있다. 공공관리제 업체에는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을, 민영제 업체에는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와 1일 2교대제 도입, 임금 격차 해소를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경영상 어려움을 이유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협상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으며, 노사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도민 불편이 심화될 수 있다.
경기도, 비상 수송 대책 가동

경기도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도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주요 지하철역 등 234개 거점에 전세버스와 관용버스 381대를 긴급 투입하고, 마을버스 운행 시간을 연장한다.
또한 비파업 노선을 최대한 활용하고, 택시 집중 배차와 수도권 전철·경전철 운행시간 연장 등을 통해 교통 공백을 보완한다. 도는 버스정보시스템(BIS), 정류소 안내문, SNS 채널 등을 활용해 실시간 운행 상황과 대체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추석 직후 연휴, 시민 불편 불가피

이번 파업은 추석 연휴 직후 첫 주말이자 개천절을 앞둔 시점에 발생할 수 있어, 시민 불편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귀성·귀경길 교통 혼잡이 여전히 이어지는 시점과 겹쳐 광범위한 혼란이 예상된다.
경기도 버스 파업 여부는 30일 조정회의 결과에 따라 최종 확정된다. 도 관계자는 “끝까지 노사 합의를 이끌어내도록 적극 중재하겠다”며 “만약 파업이 현실화되더라도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