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5년 무공해차 980만대 보급
업계 “산업 붕괴·중국 의존 심화 우려”
학계 “PHEV·HEV 등 다각적 접근 필요”

정부가 2035년까지 무공해차 840만~980만 대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히자, 국내 완성차 업계가 즉각 우려를 제기했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6일 긴급 간담회를 열고 “사실상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수준”이라며 “현실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AIA는 KAMA, KAICA, KAP, KATECH, KSAE 등 11개 단체가 참여하는 연합체로, 국내 자동차 산업계를 대표한다. 이날 회의에는 강남훈 KAIA 회장과 주요 단체장들이 참석해 정부의 목표가 산업 생태계 전반에 미칠 파장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중국산 전기차 점유율 확대 우려

업계가 가장 크게 우려하는 대목은 국내 시장에서의 수입차, 특히 중국산 전기차의 급격한 점유율 확대다. 승용 전기차의 수입차 비중은 2015년 16%에서 2024년 40.4%로 증가했으며, 이 중 중국산 전기차는 25.9%에 달했다.
전기버스 시장에서도 2024년 기준 수입산의 36%가 중국산이었다. 강남훈 회장은 “과도한 보급목표는 CO2 규제와 판매의무제로 이어져 업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결국 중국산 전기차에 시장을 내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품업계 “10년 내 100% 전동화 불가능”

부품업계는 전동화 전환 속도에 비해 투자 여력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국내 부품업체의 95% 이상이 중소·중견기업으로, 내연기관 부품 수요가 급감할 경우 경영 악화가 불가피하다. 더 큰 문제는 원자재 의존도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코발트, 양극재, 배터리셀 등의 중국 의존도가 70~90%에 달해 공급망 불안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구체적이고 획기적인 지원책 없이 전면 전동화를 추진하면 부품업계의 연쇄 붕괴가 불가피하다”며 “공급망 안정화와 세제 혜택을 통한 생산 기반 강화가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다양한 전환 시나리오 요구

학계와 연구계는 정부 목표 달성을 위해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뿐 아니라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하이브리드(HEV), 탄소중립연료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점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국도 최근 전동화 목표 시점을 조정하거나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다. 강남훈 회장은 “공급 규제보다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강력한 수요 창출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며 “전기차·수소차 생산 세액 공제 같은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AIA는 이번 간담회 결과를 토대로 추가 의견을 수렴해 정부와 국회에 공식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