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퍼 일렉트릭 ICCU 결함 리콜
총 2만5천 대 충전 장애·냉각 이상 우려
ICCU 문제, 여전히 ‘현재진행형’

현대자동차는 2024년 7월 16일부터 2025년 8월 22일 사이에 생산된 캐스퍼 일렉트릭 1만3,587대에 대해 무상수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V2L 기능 사용 시 간헐적으로 통합충전제어장치(ICCU) 내부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완속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현대차는 오는 5일부터 서비스센터에서 고장 코드 진단과 완속 충전 점검 후, ICCU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교체를 실시할 예정이다.
냉각 모듈 불량으로 1만2천여 대 추가 리콜

ICCU 이슈와 별개로, 2024년 2월 28일부터 2025년 4월 16일 사이에 생산된 1만2,004대 역시 무상 수리 대상에 포함됐다. 해당 차량에서는 쿨런트 허브 드라이브 모듈 내부 불량이 발견돼 주행 중 전동식 워터펌프(EWP)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는 문제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쿨런트 허브 모듈 교체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ICCU 이슈에 대한 현대차그룹의 입장

최근 기아 EV5 출시 현장에서는 ICCU 문제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기아 관계자는 “문제가 된 ICCU는 주로 800볼트 시스템 탑재 차량에서 발생한 사례이며, EV5는 400볼트 시스템으로 다른 부품과 협력사 제품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 문제도 개선해 반영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캐스퍼 EV 역시 400볼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전히 남은 ‘ICCU 신뢰성’ 논란

현대차그룹의 ICCU 문제는 EV3, 캐스퍼 일렉트릭 등 400볼트 e-GMP 차량에서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번 리콜이 소비자 불안을 일정 부분 해소하겠지만, 근본적인 신뢰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는 셈이다.
ICCU 문제는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신뢰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출시될 전기차 모델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댓글1
가격만 처올리는 흉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