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내 부스바 볼트 조임 불량
현재까지 사고·화재 사례는 없어
문제 차량은 단 10대, 선제적 리콜 조치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된 일부 2025년형 아이오닉 5 전기차를 리콜한다. 리콜 사유는 배터리 팩 내부의 ‘부스바(busbar)’ 고정 볼트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은 상태로 출고된 차량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부스바는 배터리 셀 간 전류 흐름을 연결하는 전도용 금속 스트립으로, EV의 전기 계통에서 혈관처럼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부품이 느슨하게 고정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기 아크(arc)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화재나 차량 전원 계통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리콜 규모는 단 10대… 하지만 현대차는 ‘주의 주차’ 권고

문제는 다행히도 대규모가 아니다. 현대차는 배터리 시스템 조립을 담당하는 외주 공급업체의 토크 툴 제어 시스템이 오류를 일으켜 일부 배터리 팩에서 부스바 볼트의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후 진행된 배터리 검사 및 품질 감사 과정에서 해당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총 10대의 차량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현재까지 실제 화재나 사고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현대차는 “해당 차량 소유자들에게 건물이나 다른 차량 가까이 주차하지 않도록 권고했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또한 단락 발생 시 고전압 오류 감지 시스템이 작동해 ‘림프 모드(limp mode)’로 차량이 자동 진입할 수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자동 체결기 오작동… 조기 감지로 문제 확산 차단

이번 리콜의 핵심 원인은 배터리 조립 시 사용하는 자동 체결 장비의 오작동이다. ‘토크 툴 컨트롤러’로 불리는 이 장치는 볼트를 규정된 세기로 조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번 사안에서는 일부 조립 과정에서 토크 미달 상태로 부스바가 조립되어, 시간이 지나며 전기적 간섭이나 불안정한 전류 흐름을 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배터리 팩 점검 중 조기 발견되어 확산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리콜 대상 차량은 딜러십을 통해 볼트를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간단히 조치될 예정이다.
운행은 가능하나, 조치 전까지는 주차에 유의해야

현대차는 “리콜 대상 차량 소유자는 조치 전까지 운행을 계속해도 안전에 큰 문제는 없다”면서도, “밀폐된 주차장이나 건물 가까이 주차하는 것은 피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자칫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려는 예방적 조치로 해석된다. 현대차는 조기 대응과 신속한 리콜 실시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리콜은 국내 사양 아이오닉 5와 무관한 사안으로 알려져 오너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다. 오히려 단 10대에 불과한 사안이지만 신속한 리콜로 발 빠르게 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댓글2
국내는 죽든말든 개무시
우리나라에서 불나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