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日 자동차 관세 15%로 전격 인하
韓 유사 조건 못 얻을 경우 가격 경쟁력 급락
완성차 5사 중 절반 이상이 미국 수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하며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되던 총 27.5%의 관세를 15%로 인하했다.
이 중 기존 2.5%의 관세는 유지되며, 지난해부터 적용된 추가 25%의 관세가 절반인 12.5%로 축소되는 구조다.
일본은 이번 합의를 통해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6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으며, 이는 미국 내 자국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명분으로 내세운 것으로 분석된다.
韓, 일본 수준 못 따라가면… “차 값 최대 10% 더 비싸진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한국산 자동차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삼성증권 분석에 따르면 현재 수준의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는 매달 3,500억~4,000억 원, 기아는 2,500억~3,000억 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격 차이가 10% 이상 벌어질 수 있으며, 이익을 줄이거나 판매량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일본과 동일한 수준인 12.5%로 인하될 경우,
- 현대차는 월 2,000억 원,
- 기아는 월 1,500억 원 수준으로 부담이 줄어들며,
이 비용은 마케팅·인센티브 조정 등을 통해 충분히 상쇄 가능하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미 협상 시급… “FTA 있으나 역차별 우려 여전”

업계 전문가들은 한미 FTA를 근거로 한국도 동일한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미국과의 협상이 불발될 경우에는 일본에 비해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한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은 347억 달러(약 48조 원)에 달하며, 전체 수출량의 51%가 미국행일 정도로 미국 시장 의존도가 크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FTA로 관세는 면제되지만, 일본에 비해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다”면서 “같은 수준의 조건을 확보하지 못하면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美 자동차 업계 강력 반발… 북미산 ‘역차별’ 논란도 확산

이번 결정은 미국 내 대표적인 자동차 빅3 – GM, 포드, 스텔란티스 –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을 대표하는 미국자동차정책위원회(AAPC)는 “미국산 부품 비중이 낮은 일본차에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것은 미국 노동자에 대한 배신”이라며 공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북미산 차량은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원산지 규정을 충족해야만 관세 면제를 받는 반면, 일본은 비가입국임에도 불구하고 혜택을 받는다는 점에서 형평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멕시코·캐나다에도 각각 30%·35%의 관세를 예고하면서 북미 공급망 재편 압박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변화는 한국 자동차 업계에 단순한 무역 이슈를 넘어 실질적인 경영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향후 한미 간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지 못한다면,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의 시장 점유율 하락은 물론, 국내 생산 기지의 구조 재편 가능성까지 거론될 수 있는 중대한 갈림길에 서게 될 전망이다.
















댓글5
헤드라인부터 미국식민지 느낌이 풀풀나네
제목보니 참 가관이네.
제목보니 사대근성 단어가 생각나네.
노해주바보
노해주 기자야. 제목 단 꼬라지가 그게 뭐니? 고작 10% 낮추려고 760조 헌납하기로 해서 노예보다 못한 협상을 한 일본인데 제목에는 퍼센티지 낮춘것만 쓰고 그게 미국에 잘보여서 한거라고 호도하면 그게 기자야 기레기야?
쉐쉐하느라 중국이랑 동급인데 뭘 바래 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