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의 8단 DCT, 대규모 리콜 유발
향후 토크컨버터 자동변속기 전환
내구성과 주행 품질 고려한 전략적 선택

현대차는 2026년형 싼타페와 산타크루즈에 기존 8단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DCT)를 제외하고, 토크컨버터 방식의 전통적인 자동변속기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는 단순한 파워트레인 업데이트가 아닌, 고객 신뢰 회복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다.
특히 2024년형 싼타페 터보 모델에 적용된 8단 DCT는 미국 시장에서만 1만 2000대 이상이 리콜 대상에 포함되며 논란을 일으켰다.
구조적 결함 드러난 DCT…교체 불가피

리콜 관련 공식 문건에 따르면 해당 변속기는 일반적인 도심 주행 조건에서도 내부 기어 손상, 변속 오일 누유, 작동 불능 등의 결함이 발생했으며, 단순 수리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전체 유닛 교체가 요구됐다.
일부 해외 자동차 전문 매체는 “리콜 대상 차량의 거의 대부분이 동일한 증상을 보였다”며 사실상 전면적 결함임을 지적했다. 이처럼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현대차는 전면적인 변속기 체계 전환을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게 된 것이다.
고객 관점에서 ‘더 나은 선택’… 자동변속기로 교체

현대차 대변인은 미국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2026년형 싼타페 가솔린 모델에는 8단 토크컨버터 자동변속기가 탑재될 것”이라며 “이번 결정은 개발 주기 내 전략적 확장으로, 내구성, 주행 질감, 시장 적합성 측면에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존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구조적으로 민감한 부품 구성과 빠른 변속 속도가 장점이지만, 실제 주행에서는 울컥거리는 반응과 정체 구간에서의 불쾌한 충격 등으로 불만을 샀다.
SUV에 더 적합한 토크컨버터 방식

토크컨버터 방식 자동변속기는 비교적 부드러운 변속 감각과 높은 내구성을 바탕으로 특히 SUV 등 중형급 차량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전환은 고객의 실사용 경험과 지속적인 정비 비용을 고려한 ‘현실적 대응’이자, 시장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성으로 평가된다.
한편 현대차와 부품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기아는 “현재로서는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혀 형제 브랜드 간의 차별화 전략도 유지될 전망이다.
두 브랜드는 북미 시장에서 별개의 독립 운영체제로 움직이기에, 각기 다른 제품 전략을 취할 수 있지만 향후 쏘렌토 풀체인지 모델에서는 교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댓글2
차라도 좀 제대로 만들어아~DCT문제 많은 건 어제 오늘이 아니지 않나.
왜 좋은 선택지인 토크컨버터 방식 놔두고 삽질을 해 대는지 원~!!
그래도 사주는 호갱들 보면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