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F1 유치 위해 1조7000억 투자 발표
인천시는 3억원대 타당성 용역만 착수
F1 일정 포화 상태, 아시아 서킷 경쟁 격화

태국 정부가 2028년부터 2032년까지 5년간 방콕 도심에서 F1 그랑프리 대회 개최를 목표로 1조7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확정하면서, 인천시와의 유치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
태국 관광체육부는 내각 승인을 통해 400억 밧(약 1조6828억 원) 규모의 입찰안을 확정하고, 방콕 중앙역 및 짜뚜짝 시장 일대를 포함한 5.7km 거리 서킷 구상을 공식화했다.
이에 반해 인천시는 지난 6월 독일의 서킷 설계 전문업체 틸케와 한국산업개발연구원(KID) 컨소시엄과 3억4400만원 규모의 타당성 용역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올해 11월 용역이 완료되면 2025년 초 F1 본사와 MOU를 체결할 계획이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이나 대규모 투자 계획은 아직 미정이다.
정부 지원 확보 ‘절박’… 법령 개정까지 추진

현행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는 F1이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인천시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법령 개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김영신 인천시 국제협력국장은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체부, 기재부 등에 전체 사업비의 최대 30% 국비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지역 정치권과 공조해 F1 대회를 법적 지원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향후 서킷 설계, 운영 계획 수립, 후보지 선정 등을 포함한 객관적인 사업비 추계가 마무리되면, 보다 구체적인 예산 확보 절차로 나아갈 계획이다.
포화된 F1 캘린더… 아시아 도심 서킷 ‘1곳만’ 선택될 수도

현재 F1은 전 세계 24개 도시에서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 숫자는 F1 조직위원회가 밝힌 ‘균형 있는 최대 수용 한계’다. 도메니칼리 F1 그룹 CEO는 24개 일정이 “적정 수치”라고 밝힌 바 있어, 신규 개최지는 기존 도시의 탈락 또는 격년제 개최가 아니면 자리를 차지하기 어렵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현재 중국(상하이), 일본(스즈카), 싱가포르가 대회를 개최 중이며, 도심 서킷은 싱가포르가 유일하다. 따라서 방콕과 인천이 모두 도심형 서킷을 계획하고 있는 만큼, 양 도시 간의 직접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F1 본사가 아시아 도심 서킷을 하나만 추가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태국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인천시, “포기 없다” 단계별 추진과 국비 확보에 집중

인천시는 불리한 출발에도 불구하고 단계별 추진과 정부 설득을 병행해 유치 경쟁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타당성 용역을 기반으로 사업비 추계, 경제 파급 효과 분석, 서킷 입지 조건 검토 등을 마친 뒤, F1 본사와의 협상과 정부 협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방콕이 유치한다고 해서 인천 유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며 F1 유치를 위한 국비 지원 근거 마련과 서킷 설계의 현실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F1 유치 외에도 상상플랫폼 재구성과 같은 지역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를 연계해 복합 경제 효과를 노리는 전략도 추진 중이다.
F1 유치전은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 확보를 넘어, 해당 도시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업이다. 태국은 정부가 직접 나서 수천억 원을 투자하며 빠르게 판을 짜고 있는 반면, 인천시는 이제 막 출발선에 선 상황이다.
다만, 인천의 경우 ‘2027년 개최’라는 일정상 이점과 함께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느냐가 유치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법령 개정, 국비 확보, 현실적 서킷 조성 전략이 삼박자를 이룰 경우, 결코 불가능한 도전은 아니다. 인천시의 ‘조용한 반격’이 실현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