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환경 잡고, 효율 잡고”, 두 마리 토끼 다 잡은 현대·기아의 이 신기술??

하정연 기자 조회수  

현대자동차와 기아, 자동차 제조 공정에서
혁신적인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발표해
친환경적이면서 생산 효율성과 품질도 챙겨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의 도입

현대 ST1 – 출처 :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자동차 제조 공정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새로운 기술을 발표했다. 이들은 일반적인 도장 공정 없이도 매끄러운 차체 표면과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의 양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현대차의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인 ‘ST1 카고’의 루프 스포일러에 최초로 적용되었다.

친환경 제조 공법의 탄생

무도장 복합체 가공 현장 – 출처 : 현대자동차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은 플라스틱 복합재를 활용해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 차량 외관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제조 공법이다. 이 기술의 핵심은 투명층과 컬러층이 적층된 컬러 원소재를 활용해 일반적인 자동차 도장 공정을 대체함으로써,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 

생산 효율과 품질의 극대화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설명 – 출처 : 현대자동차

이 새로운 공법은 기존의 차체 도장 및 샌딩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해준다. 컬러가 입혀진 원소재를 가열해 연화시킨 뒤 금형 위에 올려 루프 스포일러 모양의 외관 성형물을 제작한다. 이후, 성형물 안쪽에 열경화성 소재인 폴리우레탄과 유리 섬유를 도포한 뒤 금형으로 다시 눌러 최종 제품을 완성한다. 이로써 도장 품질 측면에서도 일반 도장 기법 대비 높은 수준의 광택과 균일하면서도 풍부한 발색 구현이 가능해졌다. 

다양한 적용 가능성과 미래 전망

신기술을 적용한 현대 ST1 – 출처 : 현대자동차

무도장 복합소재 기술은 성형 자유도가 높고 다채로운 컬러 구현이 가능해 다품종 소량 생산이 필요한 부품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후드 패널 등 차체 부품 제작에도 적용할 계획을 갖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에 적용된 복합 소재는 기존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대비 20% 이상 가벼워 전비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 기술은 맞춤형 모빌리티를 제공하기 위한 현대차그룹의 제조 기술 연구의 결과물”이라며 “제조 공법의 혁신을 통해 생산 유연성과 상품성을 높이고, 에너지 사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혁신적인 기술 도입으로 현대차와 기아는 미래 자동차 제조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제조 공정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련기사

author-img
하정연 기자
capress_editor01@cargle.kr

댓글0

300

댓글0

댓글 많은 뉴스

[이슈] 랭킹 뉴스

  • 고속도로-교통사고-교통정체-졸음운전-봄철운전-식곤증-운전자-교통안전-안전운전-초보운전 (4)
    "위험천만 고속도로 휴게소" 6년간 116건 10명 사망! 도로공사 대책은?
  • 테슬라-BMS-결함
    "테슬라 보조금 철회?" 정부, 결함 논란에 결국 칼 빼들었다!
  • 고령 운전자-운전면허 반납-치매 노인 운전-부산 고령화-교통사고 증가-노인보호구역-실버존
    "중국인 국내 운전 허용?" 대체 누굴 위한 법인가... 논란 확산!
  • 체리-제투어-도강
    "1.5km 강을 차로 건넌다?" 내구성 최강 하이브리드 오프로드 SUV 화제
  • 중고차-리콜-미이행
    "중고차 잘못 샀다가 대형 사고" 살인 에어백, 화재 위험차 6만 대 풀렸다!
  • "테슬라 중고가 폭락!" 오너들 땅 치고 후회하는 이유

댓글 많은 뉴스

공유하기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