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5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 탑재
정차·주행 중 비정상 가속 즉시 제어
브레이크 작동 원리 영상 공개

현대자동차그룹이 전동화 시대에 맞춘 첨단 안전 기술을 강화한다. 그룹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계적 신뢰성에 더해 운전자 실수까지 능동적으로 감지하는 전자제어 기술을 EV5에 우선 적용하며 안전운전 지원을 한층 고도화했다고 밝혔다.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순간 진공 부스터나 전동 부스터를 거쳐 유압으로 변환되고, 이 힘이 각 바퀴의 캘리퍼를 눌러 차량을 제동하는 단순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구조를 갖는다.
현대차그룹은 전통적인 진공 부스터 대신 전기차에는 통합형 전동 부스터(IEB)를 적용해 응답성과 제동 모드 다양성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부스터 이상 시에도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으면 충분한 제동력이 확보되도록 설계돼 안전성을 담보한다.
EV5에 도입된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

현대차그룹은 최근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페달 오조작’ 사고 예방을 위해 EV5 전 트림에 관련 보조 장치를 기본 적용했다.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오인해 급조작할 경우, 차량 센서가 전후방 장애물을 인식하고 즉시 토크를 제한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 위험을 줄인다. 이는 주차장이나 정체 구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평가다.
주행 중에도 작동하는 ‘가속 제한 보조’

또 다른 기능인 ‘가속 제한 보조’는 주행 중 비정상적인 가속 패턴을 감지해 개입한다. 예를 들어 시속 80km 이하에서 가속 페달을 장시간 깊게 밟으면, 제어기가 이를 0으로 인식해 토크를 제한한다.
만약 전방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전방 충돌방지 보조’와 즉시 연동돼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이 과정에서 운전자에게 단계적 경고 메시지를 제공해 위험 상황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기술 확대와 향후 계획

현대차그룹은 EV5를 시작으로 향후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차량에도 동일 기술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자동차안전연구원이 공개한 관련 특허와 업계 협력을 통해 페달 오조작 방지 기술의 고도화를 이어가며,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주행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브레이크 기계 시스템의 신뢰성에 전자제어 기반 보조 기술을 더해 이중 안전 체계를 완성했다”며 “안심 운전을 돕는 기술 혁신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