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미국 생산 비중 확대, 관세 리스크 최소화
부품 매입액도 동반 증가…현지 공급망 고도화 본격화
멕시코 공장 활용 한계… 북미 현지 생산 더 늘릴 듯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내 생산 비중을 확대하며 관세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 현대차의 올해 상반기 미국 생산량은 앨라배마 공장(HMMA) 17만9,900대, 조지아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3만7,314대 등 총 21만7,214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만 대 이상 늘어난 수치다.
글로벌 생산량(197만1,255대) 중 미국 비중도 9.2% → 11%로 상승했다. HMMA는 가동률 99.6%로 사실상 풀가동 체제를 이어갔으며, HMGMA도 1분기 54.7%에서 상반기 72.6%까지 끌어올렸다. 기아 역시 조지아 공장(KMMG)에서 18만500대를 생산해 글로벌 생산의 12.2%를 차지했다.
부품 매입액도 동반 증가, 공급망 현지화 가속

현대차와 기아는 단순히 생산만 늘린 것이 아니라 부품·원자재 매입액도 크게 늘리며 현지 공급망을 강화했다. 현대차 HMMA는 6조7,367억 원어치 부품을 매입하며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고, 지난해 말부터 가동을 시작한 HMGMA는 상반기 1조8,035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HMGMA는 1분기 6,023억 원에서 2분기에는 1조 원 이상으로 급증해 본격적인 생산 체제로 진입했음을 보여준다. 현대차 전체 매입액에서 미국 공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7.5%로 상승했다. 기아도 상반기 미국 부품 매입액이 6조7,17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했다. 이는 현지 부품업체와의 연계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관세 부담 회피, 미국 내수 판매 집중 전략

이번 변화의 가장 큰 배경은 미국의 수입차 관세 부과다. 4월 이후 미국이 25%의 글로벌 관세를 부과하면서, 현대차·기아는 수출 물량을 줄이고 현지 판매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전환했다. 실제로 HMMA의 상반기 생산분 중 97% 이상이 미국 내수로 공급되었으며, HMGMA 생산분은 전량 내수로 소화됐다.
생산 차종을 보면 HMMA는 투싼(43.5%), 싼타페 내연기관·하이브리드(39.9%), 싼타크루즈(9.2%), 제네시스 GV70 내연·전기(7.4%)를 맡고 있다. HMGMA는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9 같은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아 KMMG는 텔루라이드·스포티지·쏘렌토 등 RV 모델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다.
멕시코 공장의 한계와 북미 현지화 전망

기아 멕시코 공장은 상반기 14만3,080대를 생산해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했다. 그러나 북미 자유무역협정(USMCA)의 무관세 요건(북미산 부품 75%, 고임금 노동 기준 충족)을 충족하기 어려워, 멕시코산 차량의 미국 수출에는 한계가 따른다. 업계는 멕시코산 차량 대부분이 원칙적으로 25% 관세를 적용받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현대차·기아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생산 확대가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멕시코 간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어 불확실성이 크다”며, “북미 시장 수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맞춰 현지 생산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