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뷰익 엔비스타’ 국내 출시 검토
북미서 8만 대 판매 3천만 원대 가성비 SUV
내수 점유율 회복·생산 지속성 확보가 목표

한국GM이 철수설을 잠재우기 위한 해법으로 북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쿠페형 SUV ‘뷰익 엔비스타’의 국내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10일 한국GM 노조에 따르면 노사는 4분기 내 ‘미래발전위원회’를 열어 엔비스타의 내수 판매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엔비스타는 2023년 4월 북미 시장에 첫선을 보인 이후 올해 1분기까지 누적 판매 8만 대를 돌파하며 뷰익 브랜드를 다시 주목받게 만든 핵심 모델이다.
현지 판매가격은 약 2만4000달러, 한화로 약 3400만 원 수준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세련된 디자인을 갖춘 만큼 SUV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국내 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이 차량은 전량 인천 부평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어, 국내 출시가 현실화될 경우 생산라인 효율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 의존도 96%, 내수 부진 탈출 과제

한국GM은 올해 1~8월 사이 총 30만2746대를 생산했지만 이 중 29만2116대를 수출해 수출 비중이 96%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내수 판매는 고작 1만304대에 불과해, 국내 시장 점유율은 1.1%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GM의 내수 기반이 사실상 무너졌음을 보여준다.
특히 수출 물량 대부분이 미국 시장에 집중되어 있어, 대외 변수에 따라 실적 변동이 심하다. 이 때문에 한국GM이 북미 생산 모델을 국내에 도입하는 것은 단순한 판매 확대를 넘어,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업계에서는 “내수 판매 확대가 없이는 한국GM의 부평공장 유지가 장기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관세 부담 7600억 원… ‘철수설’ 불안감 여전

한국GM의 수출 중심 구조는 막대한 관세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 정부가 수입차에 부과하는 25% 관세로 인해 GM은 올해 2분기 실적에서 약 11억 달러(1조5300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인 5억5000만 달러(약 7600억 원)가 한국GM에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GM이 한국 내 유휴 자산 매각을 추진하자 일시적으로 ‘철수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특히 매각 대상에 직영 서비스센터가 포함되면서, 국내 시장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이후 노사가 구조조정 논의를 재검토하기로 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됐지만, 여전히 불안감은 남아 있다. GM은 2018년 산업은행으로부터 8100억 원의 경영정상화 자금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2028년까지 국내 공장 운영을 약정했으나, 이후 계획은 불투명하다.
내수 회복이 철수 방지의 핵심 열쇠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엔비스타’ 국내 출시 논의가 단순한 라인업 확장이 아니라 한국GM의 존속 전략과 직결된 문제라고 본다. 수출 중심 구조를 내수 판매 중심으로 일부 전환함으로써, 생산 유지와 일자리 보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시장점유율이 낮아진 상황에서 수출 전용 모델을 내수로 돌려 판매량을 늘리는 것은 노사 모두에 유리한 선택”이라며 “다만 미국 수출 물량 조정은 본사와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한국GM이 ‘엔비스타’ 국내 출시를 통해 내수 회복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가 향후 2028년 이후 한국GM의 존속 여부를 가를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