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고속도로 작업장 사고 211건, 54명 사망
전방주시 태만·졸음운전이 주원인, 치사율 25%
9월 차단작업·교통량 급증…예방수칙 준수 필요

지난해 서천공주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에서 잇따라 발생한 추돌사고는 고속도로 작업장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고속도로 작업장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211건, 사망자는 54명에 달한다.
이는 일반 교통사고 치사율(10% 미만)보다 훨씬 높은 25.6%에 이른다. 사고 원인으로는 ‘전방주시 태만’이 61%, ‘졸음운전’이 35%를 차지해 대다수가 주의 부족과 피로 누적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에 사고 더 많은 이유

특히 9월은 차단 작업이 연중 가장 많은 달로 꼽힌다. 장마와 폭염이 끝난 뒤 집중 보수공사, 수목 정비, 동계 대비 공사가 몰리기 때문이다. 최근 3년간 9월 평균 차단작업 건수는 1만700건으로 연평균보다 42% 이상 많았다. 이 시기 하루 평균 교통량은 524만 대로 연평균보다 5% 이상 늘고, 정체 길이도 367km에 달한다. 더위가 채 가시지 않은 기후도 졸음운전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
운전자들이 지켜야 할 안전수칙

작업장 사고를 줄이려면 운전자가 미리 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작업장 안내 표지판이나 전광판을 발견하면 시속 60km 이하로 감속하고, 미리 차선을 바꿔야 한다. 무리한 차선 변경을 피하고 서행하는 것이 기본이다. 또한 2시간 이상 운전 시에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반드시 휴식을 취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하며 스트레칭으로 긴장을 완화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2차 사고 예방의 중요성

작업장 사고 못지않게 치명적인 것이 바로 2차 사고다. 사고나 고장으로 멈춰선 차량을 후속 차량이 들이받는 경우로, 치사율이 50%를 넘는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차량이 멈추면 즉시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후속 차량에 신호를 준 뒤, 안전을 위해 곧바로 도로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