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신차 등록 비중 10년래 최저
60·70대 신차 비중은 꾸준히 상승
합리적 소비 추구 ‘요노족’ 중고차 관심

올해 상반기 국내 승용 신차 등록에서 2030세대의 비중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20대의 신차 등록 대수는 2만9,066대로 전체의 5.7%에 그쳤다. 이는 2016년 8.8%에서 매년 점진적으로 감소한 결과로, 10년 내 최저 수준이다. 같은 기간 30대의 점유율도 19.5%로 처음으로 20% 선이 붕괴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젊은층의 자동차 구매 감소 원인은 다양하다. 신차 가격의 급등은 물론, 차량을 ‘소유’ 대신 ‘이용’하려는 인식 변화가 뚜렷해졌다. 특히 차량공유 앱과 대중교통 활용, 구독형 서비스 확산 등으로 인해 차량을 필수재로 여기지 않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6070 고령층 중심의 신차 시장

반면, 60대와 7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지속 상승 중이다. 60대는 상반기에 9만2,123대를 등록해 전체의 18.0%를 차지했고, 70대도 2만3,010대로 4.5%를 기록했다. 10년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각각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는 고령층의 활발한 경제활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은퇴 후에도 창업, 재취업 등으로 활발히 사회생활을 지속하는 고령층은 안정적인 이동 수단으로 자가용 수요가 높다. 특히 중형 이상 차량에 대한 선호가 강해, 이들의 구매력은 자동차 시장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고차 시장으로 이동한 2030 ‘요노족’

신차 시장에서의 위축과 달리, 중고차 시장에서는 2030세대의 존재감이 오히려 커지고 있다. K Car(케이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2030 고객들이 가장 많이 구매한 차량은 현대 아반떼 AD였다. 이어 현대 쏘나타 DN8, 기아 더 뉴 레이, 기아 K5, 현대 그랜저 IG 등 준중형 및 중형급 실용 차량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러한 흐름은 ‘욜로(You Only Live Once)’에서 ‘요노(You Only Need One)’로 변화한 젊은 세대의 소비 성향과 밀접하다. 큰 지출 대신 실용성 있는 선택을 우선시하며, 합리적인 가격의 중고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NH농협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2030세대의 중고차 구매는 지난해 대비 29% 증가했다.
자동차 소비 트렌드 변화…제조사 전략 수정 불가피

2030세대의 자동차 구매 행태 변화는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령층은 신차 시장에서 꾸준한 수요층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2030세대는 실속형 소비자층으로 중고차 및 보급형 전기차 시장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완성차 업체들도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보급형 전기차 확대, 중고차 인증 프로그램 운영, 차량 구독 서비스 도입 등이 향후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정책적으로는 자동차세, 보험료 등에서의 연령별 불균형 해소와 같은 제도적 보완책 역시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소유보다 효율과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자동차 시장은 이제 ‘크고 비싼 차’보다 ‘가성비 좋은 실용차’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마케팅, 생산, 유통까지 구조적 전환을 요구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댓글1
어린애들은 리스나, 장기렌트로 돌았거든..그래서 줄어든거란다.. 수치만 보고 개소리 말자..커뮤니티 돌아 다녀봐라.. 외제차, 제너시스 리스승계, 렌트 승계 구걸하는 애들 많다